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 요금제

태블릿PC 요금제 꿀팁 : 태블릿에서 스마트폰 요금제 사용 방법

by Go테슬라 2022. 7. 20.
반응형

통신비 절약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인데, 어떻게 하면 가장 합리적인 요금제를 사용할까 항상 고민을 합니다. 오늘은 태블릿 요금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핵 꿀팁을 공개하려고 합니다.

알뜰폰 업체의 태블릿 요금제를 사용

첫 번째 꿀팁은 알뜰폰 업계의 태블릿 요금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매우 당연한 말일 수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요금제까지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0기가 3,300원, 20기가 6,600원이라고 한다면 믿으시겠어요? 물론 기간 한정이긴 하지만, 일정 기간 동안은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답니다.

 

태블릿 요금제 가입 후기 : 10기가에 3,300원, 20기가에 6,600원

위 링크는 제가 실제로 가입한 요금제입니다. 프리티 모바일이라는 알뜰폰 업체인데, 7월 한 달만 특별 할인을 하는 것을 즉시 포착하고 냅다 가입을 해버렸습니다. 20기가에 6,600원이라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 가격이었기 때문이고, 이것보다 더 싼 조건은 없었기 때문이에요. 다만, 7개월까지 특별 할인 가격이며, 8개월부터는 특별 할인이 사라지니 7개월 차에 다른 요금으로 갈아타는 전략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태블릿 PC 셀룰러에 스마트폰 요금제 사용 가능

두 번째 꿀팁은 태블릿 PC에 '스마트폰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태블릿 PC는 태블릿 전용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태블릿 전용 요금제의 문제는 10기가, 20기가 사용 후 데이터가 차단되는 요금이 대부분이며, 아주 극소수 속도 제한을 통해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요금이 존재합니다. 아쉬운 부분은 무제한 속도가 400 Kbps 수준으로 제공이 되는데, 400 Kbps는 약 50KB입니다. 인터넷 서핑도 제대로 못하는 수준이라는 사실 명심하셔야 됩니다. 웹툰도 못 볼 겁니다. 속이 터지거든요.

 


LG U+ 스마트폰 요금제는 태블릿 PC에서 사용 가능하다.

태블릿 PC에서 제한적으로 스마트폰 요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은 LG U+ 통신망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LG U+ 스마트폰 요금제는 이상하게도 태블릿에서 차단이 되지 않습니다. 불과 이번 달 초까지 제가 사용했으니 정확한 정보입니다.

실제로 이용했던 요금제와 청구서 내역


작년에는 알뜰폰 요금제 가격이 정말 착했습니다. 지금은 위의 조건을 찾아볼 수 없는데, 가격 정책이 많이 오른 것 같습니다. 12개월 간 7,700원 요금제의 제공량을 보시면 입이 턱 벌어질 것입니다.

  • 통화 500분, 문자 500건, 데이터 7기가 + 3 Mbps 무제한
  • 3 Mbps는 유튜브 720p 끊김 없이 시청 가능한 수준
  • 농협홍삼 2박스 + 신세계 모바일 상품권 3만 원


파란색 글자를 보시면, 가입 선물까지 제공을 했었는데요. 홍삼 2박스와 신세계 상품권 3만 원까지 제공을 했었습니다. 그야말로, 혜자 중의 혜자 요금제였던 것이죠. 저 요금제를 태블릿 PC에서 사용했었는데, 데이터 무제한 혜택을 원 없이 즐겼습니다. 12개월이 거의 다 끝나가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에 요금제 변경을 해야 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그래도 20기가에 6,600원 요금제가 마침 있어서, 잘 갈아 탄 것 같습니다.

 

데이터 1기가 + 1Mbps 무제한 0원 요금

위 요금제는 이야기 모바일의 0원 요금제인데, 데이터 1기가 소진 후 1 Mbps 속도로 무제한 사용 가능한 요금제입니다. 이 요금을 태블릿에서 사용한다면, 통화와 문자는 사용할 수 없지만 데이터는 무제한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 단, 1 Mbps 속도는 유튜브 480p 수준이기 때문에, 쾌적한 이용을 할 수는 없습니다.
  • 웹서핑, 웹소설, 웹툰 등은 사용 가능한 수준입니다.


태블릿 요금제를 고민할 때, 알뜰폰 업체의 LG U+ 통신망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은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정보입니다. 잘 참고하셔서 합리적인 소비를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