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스페이스X 스타링크, FCC로부터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승인받다 : 움직이는 자동차, 트럭, 보트, 비행기 등 사용 가능

by Go테슬라 2022. 7. 1.
반응형

움직이는 중에 스타링크 서비스 사용 가능

스페이스 X(Space X)는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로부터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승인을 받았습니다. 자동차, 레저용 차량, 트럭, 보트, 비행기 등이 움직이는 도중에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제 전 세계 어디에서나 매우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스페이스 X의 스타링크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기(클릭)

 

위 링크의 글을 요약하자면, 스페이스 X의 스타링크 프로젝트는 지구의 저궤도에 소형 인공위성 12,000개를 띄워 촘촘한 네트워크 망을 만듭니다. 위성에서 지구를 향해 전파를 쏘아 인터넷을 송수신할 수 있게 합니다. 즉,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5G, LTE 등은 지상에 기지국을 설치하여 인근 지역으로 전파를 쏘는 방식보다 광범위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스타링크 서비스 목표
전송속도: 1 Gbps
응답속도: 20ms

 

더욱 쉽게 말씀드릴게요. 북극, 남극, 사막, 태평양 한가운데 등 어느 곳에서든 매우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게 스타링크 프로젝트입니다. 전송속도는 1 Gbps를 목표로 하는데, 1초에 125MB를 전송할 수 있는 속도입니다. 

 

1 Mbps = 0.125 MB
1000 Mbps = 1 Gbps = 125 MB

 

우리가 스마트폰의 인터넷 속도 체크를 할 때가 있습니다. LTE 속도가 잘 나오면 100 Mbps가 나오고, 5G는 500~1000 Mbps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요. 현재 5G를 사용하시는 분은 아실 텐데요. 저 정도 속도가 나오는 구역은 흔치 않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즉, 스타링크 프로젝트의 목표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속도보다 빠른 위성 인터넷 서비스라는 것입니다. 부지런히 소형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고 있는데, 가까운 미래에 지역을 가리지 않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 같아 매우 기대됩니다.

 

 

 

모리셔스 일본 유조선의 좌초 비극, 사유는 WIFI?

2020년의 사건 사고를 떠올려 보면,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가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저 역시 그렇고요. 추가적으로 2020년에 발생했던 주목할만한 사고가 있었는데요. 2020년 8월에 인도양의 모리셔스 섬에서 일본 유조선 MV 와카시오가 좌초가 되면서, 대량의 기름이 유출됐던 사고입니다. 

 

일본 유조선 MV 와카시오 좌초 / 출처:MU 프레스

 

어마어마한 양의 기름이 유출이 되면서 모리셔스 섬 해안가가 기름 범벅이 되고 말았습니다. 좌초가 된 이유는 해안가의 WIFI를 잡기 위해 유조선을 육지로 접근시켰다는 진술이 나오기도 했는데요. 문제는 유출된 기름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회복을 하려면 수십 년 이상이 걸릴 수 있다는 안타까운 이야기가 들려왔습니다. 2007년 우리나라 태안에서도 기름유출로 인해 곤욕을 치렀었는데요. 모리셔스도 하루빨리 해결이 되면 좋겠습니다. 

 

이때 당시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했더라면, 이러한 비극은 발생하지 않았을 텐데요. 이제 선박에서도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링크 서비스의 세부적인 진행 상황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로부터 승인을 받았지만, 몇 가지 조건이 설정된 조건부 승인입니다. 

  •  승인된 현재와 미래 서비스 모두 수신되는 간섭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  스타링크에 대한 추가 투자는 추가 조건 또는 요구사항에 따라 운영될 수 있다는 위험성도 존재합니다.

 

한편, FCC의 스타링크 승인은 하와이 항공, JSX, 로열 캐리비안 크루즈 등에서도 스타링크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제 더욱 많은 회사들이 스타링크에 가입을 하려고 할 것은 두말할 것도 없습니다. 

 

스페이스 X에서는 레저용 차량(RV)에 대한 서비스를 출시했는데, 첫 달에만 3만 건 이상의 주문이 들어오는 등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출처: 스페이스 X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만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대한민국은 2023년부터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니, 머지않았네요. 스타링크 소형 인공위성을 계속해서 쏘아 올리는 상황이기 때문에, 점차 많은 지역에서 사용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