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저축계좌 시행
청년들의 사회 진출을 돕는 정부 정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청년들의 원활한 사회 진출을 목적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제도를 도입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의 핵심
매월 10만 원씩 저축
3년 뒤 최대 1440만 원 + 이자 혜택
매월 10만원씩 저축을 하면, 1년에 120만 원이 저축이 됩니다. 3년이면 360만 원인데, 이 정도 금액으로는 사회 진출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똑같은 금액을 3년 간 저축을 하면 정부에서 도움을 주어 최대 1,440만 원이 된다고 한다면, 바로 신청을 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신청 기간 : 7월 18일 ~ 8월 8일
추가 기간 : 8월 1일 ~ 8월 5일
유의 사항
- 7월 29일까지 출생일 기준으로 5부제로 신청 가능
- 5부제 기간 동안 신청을 하지 못한 분은 추가 기간에 신청 가능
신청 방법
- 온라인 : 복지로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
- 오프라인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은 그다지 까다롭지 않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 신청일 기준 직장에서 근로 중인 사람
- 만 19~34세 청년 중 근로·사업소득 월 50만 원 ~ 200만 원
- 청년이 속한 가구 소득은 중위소득 100% 이하
- 가구 재산이 대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3억 5000만 원 이하
- 중소도시는 2억 원 이하
- 농어촌 1억 7000만 원 이하
위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은 예외 기준도 있는데요.
- 만 15~39세까지 가입 연령 확대
- 근로·사업소득 기준을 미적용
청년내일저축계좌 수령 예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수령액은 두 그룹으로 나뉩니다. 기본 대상과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인데요. 아래 표를 확인해주세요.
기본 대상은 매월 10만 원씩 3년 간 적립을 하면 총 360만 원이 쌓입니다. 정부도 매월 10만 원씩 3년 간 적립을 해주는데, 3년 뒤 총 수령액은 720만원이 됩니다. 원금이 2배가 된다니 정말 엄청난 혜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해당 기간에 발생한 이자는 별도로 수령 가능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은 생계가 어렵기 때문에, 더욱 많은 혜택이 주어집니다. 매월 10만원씩 3년 간 총 360만 원을 적립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매월 30만 원씩 3년 간 적립을 해주게 되고, 3년 뒤 총수령액은 1,440만 원이 됩니다. 추가로, 해당 기간에 발생한 이자는 별도로 수령 가능합니다. 파격적인 혜택이네요.
다만 수령을 위해서는 몇 가지 활동이 필요합니다.
- 가입 후 3년간 근로를 지속하며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할 것
- 총 10시간의 교육 이수
-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이상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서 정리를 해드렸습니다. 본인이 대상이 되신다면 해당 기회를 적극 이용하셔서 보다 원활한 사회 진출을 도모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 대상자 발표 및 지급일 : 7월 11일 (0) | 2022.07.11 |
---|---|
서울시청년교통비지원 : 만 19~24세 대상, 최대 10만 원 지원 (0) | 2022.07.10 |
미니언즈2 보는 순서, 개봉일 7월 20일 : 맥심과 미니언즈 콜라보 (0) | 2022.07.07 |
중개형 ISA 계좌 : 주식 장기 투자자들의 필수 절세 방법 (0) | 2022.07.02 |
현대차, 고용노동부가 함께하는 굿잡 5060 : 50~60대 일자리 프로젝트 (0) | 2022.06.29 |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지원받자 : 취약계층 에너지 바우처 지원 제도 (0) | 2022.06.29 |
2022년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 지원 안내 : 신청기간 6월 27일~7월 29일 (0) | 2022.06.26 |
경제계에서 ESG 경영에 주목하는 이유 : 환경, 사회, 지배구조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