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기간 및 신청 방법 : 7월 18일 ~ 8월 5일

by Go테슬라 2022. 6. 30.
반응형

청년내일저축계좌 시행

청년들의 사회 진출을 돕는 정부 정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청년들의 원활한 사회 진출을 목적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제도를 도입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의 핵심
매월 10만 원씩 저축
3년 뒤 최대 1440만 원 + 이자 혜택

 

매월 10만원씩 저축을 하면, 1년에 120만 원이 저축이 됩니다. 3년이면 360만 원인데, 이 정도 금액으로는 사회 진출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똑같은 금액을 3년 간 저축을 하면 정부에서 도움을 주어 최대 1,440만 원이 된다고 한다면, 바로 신청을 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신청 기간 : 7월 18일 ~ 8월 8일

추가 기간 : 8월 1일 ~ 8월 5일

 

유의 사항

 - 7월 29일까지 출생일 기준으로 5부제로 신청 가능

 - 5부제 기간 동안 신청을 하지 못한 분은 추가 기간에 신청 가능

 

신청 방법 

 - 온라인 : 복지로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

 - 오프라인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은 그다지 까다롭지 않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 신청일 기준 직장에서 근로 중인 사람
  • 만 19~34세 청년 중 근로·사업소득 월 50만 원 ~ 200만 원
  • 청년이 속한 가구 소득은 중위소득 100% 이하
  • 가구 재산이 대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3억 5000만 원 이하
  • 중소도시는 2억 원 이하
  • 농어촌 1억 7000만 원 이하

위의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은 예외 기준도 있는데요.

  • 만 15~39세까지 가입 연령 확대
  • 근로·사업소득 기준을 미적용

 

청년내일저축계좌 수령 예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수령액은 두 그룹으로 나뉩니다. 기본 대상과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인데요. 아래 표를 확인해주세요.

 

 

기본 대상은 매월 10만 원씩 3년 간 적립을 하면 총 360만 원이 쌓입니다. 정부도 매월 10만 원씩 3년 간 적립을 해주는데, 3년 뒤 총 수령액은 720만원이 됩니다. 원금이 2배가 된다니 정말 엄청난 혜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해당 기간에 발생한 이자는 별도로 수령 가능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은 생계가 어렵기 때문에, 더욱 많은 혜택이 주어집니다. 매월 10만원씩 3년 간 총 360만 원을 적립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매월 30만 원씩 3년 간 적립을 해주게 되고, 3년 뒤 총수령액은 1,440만 원이 됩니다. 추가로, 해당 기간에 발생한 이자는 별도로 수령 가능합니다. 파격적인 혜택이네요.

 

 

다만 수령을 위해서는 몇 가지 활동이 필요합니다. 

  • 가입 후 3년간 근로를 지속하며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할 것
  • 총 10시간의 교육 이수
  •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이상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서 정리를 해드렸습니다. 본인이 대상이 되신다면 해당 기회를 적극 이용하셔서 보다 원활한 사회 진출을 도모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